![](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TCSX/btqxlwBhAML/nc6oKHCKygIhphTEdvmjGk/img.png)
이번에 소개해 드릴 내용은 윈도우에서 이모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윈도우에서 이모지(에모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간단한 단축키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Window 키 + " . " 을 누르시면 바로 😂 이러한 이모지를 사용할 수 있는 팝업차이 생성됩니다. 먼저 이모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는 위키백과에서 퍼온 내용입니다. 불러오는 중입니다... 에모지(일본어: 絵文字えもじ) 또는 이모지(영어: emoji /ɪˈmoʊdʒi/[*])는 그림문자 및 유니코드의 그림문자 처리 기술을 말한다. 에모지는 일본어 “그림”(絵 에[*])과 “문자”(文字 모지[*])의 합성어이다. 이모티콘과 유사하지만 이모티콘은 텍스트의 조합으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에모지는 이미지 자체가 하나의 문자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sh7V/btqxgyxYfnj/4RNWNIKHUwxVz4CGKKnp70/img.png)
여러 셀을 선택해서 하나의 셀로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방법에 대해 다들 굉장히 어렵다고 생각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의 예시를 잘 따라하고 첨부드린 파일을 이용해서 해보시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위에 있는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잘 따라서 오시기 바랍니다. 어려운 부분이 있거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 댓글을 남겨주시면 제가 읽고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수식에 들어가는 내용 중 &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에 일종입니다. ▼ 파일을 실행시키면 제가 만들어 놓은 표가 보이실 겁니다. 이제 원하는 셀입력 칸에 원하는 셀을 선택해서 넣어야 하는데 수식은 =셀 & 셀 .... 쭉 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납입횟수, 납입금액을 셀G4,G5 등에 자동..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dnHFH/btqxaD7FqjK/QijNLfN7wJ7SLX1Rm9bMWk/img.png)
오늘은 두가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엑셀에서 엔터를 치면 다음 셀로 넘어가버립니다. 하지만 Alt + 엔터를 이용하면 바로 한칸 내려가서 워드에서 엔터친거 처럼 줄바꿈이 됩니다. 그리고 메일주소를 입력한 후에 링크가 걸려서 글씨가 밑줄과 파란색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엑셀에서 원하는 곳에서 줄바꾸는 방법 ▲ 일반적인 상황에서 셀을 선택 후 안에 내용을 입력하다가 엔터를 치게 되면 C2에서 C3 셀로 이동을하게 됩니다. 한번더 엔터를 치게 되면 최종적으로 C4로 위치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가 알려드린 Alt(알트) + 엔터를 이용하게 되면 C2 셀에서 줄바꾸기가 가능합니다. ▲ 위에 보이는 내용은 알트 엔터를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곳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1oor/btqw8akdwld/bf174HQCGNBwDJssh9Je5K/img.png)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엑셀에서 반복적으로 입력을 해줘야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에도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숫자만 입력하지만 뒤에는 자동으로 원하는 단어가 입력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알아둘 경우에 분명 업무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을 빨리 끝낼수 있습니다. 첨부된 파일은 제가 여기서 설명해드리는 내용과 같은 파일입니다. 먼저 엑셀을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시트를 만들어서 저처럼 만들어줍니다. 혹은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똑같이 따라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위에 내용을 보시게 되면 분명 납부횟수에는 " 5번 " 이라고 써있지만 실제로 들어가 있는 데이터는 숫자 " 5 " 뿐입니다. 우리는 저렇게 작성을 위해서 항상 번이라는 키보드를 " ㅂ,ㅓ,ㄴ " 세번씩 타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caPR/btqw4oKj56v/kRkcscvoIgS634OoBaPeSK/img.png)
간혹 윈도 파일을 여러 개 선택하여 한번에 이름을 바꾸고 싶으신 경우가 있으실 겁니다. 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2~3개의 파일을 일일이 선택하여 변경해주는 방법도 있지만 이제 파일의 개수가 점점 늘어날 경우 점점 시간은 늘어나고 몸은 힘들어지게 되어있습니다.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번에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총 25개의 파일의 이름을 바꿔야하는 경우가 있다고 가정을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일일이 하나씩 선택하여 이름을 바꿔주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측 클릭을 사용하여 메뉴를 열어서 이름 바꾸기(M)을 클릭 한 후에 파일 이름을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다른 방법이 하나 더 있습니다. 키보드의 펑션키를 사용하는 방법입..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5d0l/btqw4nEATr7/3OJW3pbKmgyT5kzGklSMmk/img.jpg)
이번에는 파워포인트에 사용할 사진에서 배경을 지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포토샵을 모르더라도 간단하게 원하는 부분만 사용하고 배경을 투명하게 바꿀 수 있는 방법입니다. Office 지원이라고 공식 홈페이지에도 나와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제일 아래 링크해두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한 예제 파일은 제가 이 글을 작성하면서 사용한 그림파일입니다. 따라하기 쉽게 예제 파일도 첨부하여 따라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배경을 지우고 싶으시면 한번 천천히 따라서 해보시기 바랍니다. ▲ 먼저 파워포인트를 실행해줍니다. 저는 파워포인트 2016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일 최근버전은 아닙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기능은 거의 비슷하고 메뉴 위치만 다르기 때문에 배경지우기에는 문제 없을거라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DoFb/btqwXfmuakV/YAnZb07fuQ2FLxqQwRwkr1/img.png)
엑셀을 하다보면 문서를 작성하여 공유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원본 그대로 유지하면서 엑셀을 다시 공유 받으면 좋은데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를 하다보면 기존 공유했던 문서와 다른 형태의 문서가 올 경우가 생깁니다. 그리고 다른 공간에 마음대로 칸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원하는 셀만 선택하여 수정하고 나머지 공간들은 수정이 불가능하게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하시다보면 어느순간 원하는 내용만 입력할 수 있는 문서가 완성될 것입니다. 다른 부서 사람들에게 공유를 하거나 부하직원들에게 공유할 경우 서로 괜히 이상한 곳에서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하는 답과 내용만 받아서 업무를 진행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어 이러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y0GJ/btqwQktxeZT/XHiSpFCAXR3NwuxvCeCZBk/img.jpg)
지난번 주제였던 알캡처 프로그램에 설정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쉽게 프린트스크린샷 버튼을 이용하여 바로바로 스크린샷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야 사용하기 편하고 자주 사용하면서 잊어버리지 않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뉴에서 도구-환경설정 또는 F4버튼을 누르면 바로 환경설정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 환경설정에 대한 내용은 버전 2.63.0.1 에서 작성된 내용입니다. ▲ 먼저 위에 환경설정처럼 체크를 해줍니다. 특히 Windows 시작 시 자동 실행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그러면 캡처를 하고 싶을 때마다 바로바로 실행되는게 아닌 알캡처 프로그램을 찾아 실행시킨 후에 작동을 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종료버튼 클릭시 트레이로 최소화도 체크를 해주셔..